GDP
-
한국의 위기에 대한 평타생각평타 생각 2019. 9. 9. 18:50
금융 위기 후 세계 무역 성장률이 둔화 됐을뿐 아니라 미중 무역같이 블록화로 인해 무역량이 줄어 들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 GDP는 수출이 이끌고 있었지만 당연히 그 추세가 많이 꺾였다 . 기업들도 무역량이 증가했을 때 기술 개발에 투자를 해서 세계 교역량 절대 파이를 늘려 가야 했다. 아쉽게도 그렇지 못하고 외형 늘리기와 하도급 구조만 더 강화했다. 결국 수출 증가세가 꺽이자 이러한 약점이 치명타로 다가왔다. 내수 시장을 키워 이 상황을 극복하려고 했지만 저출산의 영향으로 쉽지않다. 미국은 세계에서 더욱더 우위를 가지기 위해 자신의 장점인 기술력과 내수시장을 앞세워 이 싸움을 전 세계적으로 시작했다. 일본 또한 한국보다 내수가 좋고 기술력이 좋기 때문에 이 싸움을 걸었다는 결론이 나온다.
-
고용행정 통계로 본 19.6월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1)평타 생각 2019. 7. 24. 08:11
고용행정 통계로 본 19.6월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 정말 사회에 큰 변화가 있는 것 같다. 50세 이상 고용보험 가입자 수의 큰 폭의 증가다. 19년 6월 60세이상은 21만 명 50대는 19만 1천명 증가하였다.(전년 동기 대비) 처음에는 이 수치를 보고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많아서 증가 수도 많나 했다. 그런데 증가 비율도 큰 폭으로 증가하여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결국, 노인 빈곤율 문제와 연관이 된다고 본다. 국민연금은 소득에 턱 없이 부족하고 평생직장은 없어진 지 오래고 은퇴 연령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거기다가 자녀들의 혼인 연령 증가했다. 위의 논거들이 위의 통계를 증명하는 건가? 하지만 뭔가 이상하다. 갑자기 50대 이상의 고용이 증가했다? 갑자기 50대 이상 분들이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
지금 정말 한국은 경제위기인가?평타 생각 2019. 7. 22. 08:00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하지만 경제위기가 올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oecd 경기 선행지수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 oecd 경기 선행 지수는 향후 6개월 후의 경기 상황을 예측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지수는 한국 수출에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3개월 연속 하락하거나 상승하며 그 추세가 그대로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다. 수출도 안 좋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출 주도형 국가인 한국도 그 추세를 따라 갈 수 밖에 없다. 둘째,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이다.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분기대비 -0.4%, 전년 동기 대비 1.7%이다. 한국은행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거기다가 세계의 신용평가사들이 6월, 7월에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