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은 금융위기를 어떻게 빨리 탈출할 수 있었을까?평타 생각 2019. 10. 24. 12:33
언론이나 책에는 신속한 양적완화로 장기 침체를 피할 수 있었다고 하고 있다.
양적완화로 신용경색을 해결한 것에는 동의 하지만 주요한 이유가 아니다.
제일 큰 것은 스마트 폰의 보급이다.
아이폰 1세대가 2007년 1월 9일 <맥월드 2007>을 통해 최초로 발표되었다.
모두가 알듯이 그 후 스마트폰 판매가 급격히 상승했다.
그로 인해 양적완화로 풀린 자금이 스마트폰 관련 사업에 투자되었다.
거기다가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이 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투자와 수요를 바탕으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스마트폰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다.
그러나 2016년부터 연도별 성장률이 마이너스가 시작되면서 시장이 포화에 이르렀다.
상황이 이러하니 2016년부터 양적완화로 풀렸던 자금들은 부동산이나 주식 시장으로 더욱더 흘러 들어갔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미국의 기준 금리를 올리면서 경기 과열을 조절했다.
하지만 이제는 스마트폰 파티가 끝날 갈 기미를 보이자 보호무역주의와 기준 금리를 내리며 경기 하강에 대비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오늘의 결론
결국 경기 하강을 극복하려면 새로운 기술 발전이 일어나야 한다.
새로운 기술 발전까지 기준 금리를 내리고 양적완화를 통해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해야 한다.
하지만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펀더멘탈이 많이 약해져 기술 발전까지 경기를 부양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점점 기술 발전으로 인한 경기 호황이 짧아지고 기존에 있던 다른 산업들을 빠르게 통합하여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평타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안정 대책이 효과가 없는 이유 (0) 2019.12.11 대한민국 부동산 전문가는 무당 밖에 없는가? (0) 2019.12.11 서민형 안심전환 대출이 주는 의미 (2) 2019.09.27 외국인 투자자들은 무서울 정도로 냉정했다. (2) 2019.09.19 한국의 위기에 대한 평타생각 (2) 2019.09.09